컴퓨터 관련
ppsvc란
정품이 아닌 복제품을 사용하는 윈도우즈에서만 설치되며,
사용자에게 정품을 사용하도록 권고합니다.
sppsvc: software protection platform service
sppsvc 사용안함 으로 설정하려면
시작-실행 창에서 다음 명령줄을 입력합니다.
sc stop "sppsvc"
또한 시작할 때 자동으로 켜지는 걸 막기 위해선
sc config "sppsvc" start= disabled
서비스를 완전히 삭제하려면 시작-실행에 입력합니다.
sc delete "sppsvc"
서비스의 삭제는 프로세스가 완전히 종료된 상태에서 입력해야 바로 적용.
(프로세스가 실행중인 경우에는 재부팅해야 적용이 됩니다.)
파일 경로는 Cd - Windows - System32 안에
spp 폴더 및
sppsvc.exe
이 두개.
sppsvc 서비스 등록하기 위해선
sc create sppsvc binPath= C:\Windows\System32\sppsvc.exe DisplayName= "Software Protection" depend= Rpcss start= delayed-auto obj="NT AUTHORITY\NetworkService" password= ""
sc privs sppsvc SeAuditPrivilege\SeChangeNotifyPrivilege\SeCreateGlobalPrivilege\SelmpersonatePrivilege
sc sdset sppsvc D:(A;;CCLCSWRPWPDTLOCRRC;;;SY)(A;;CCDCLCSWRPWPDTLOCRSDRCWDWO;;;BA)(A;;CCLCSWRPLOCRRC;;;IU)(A;;CCLCSWRPLOCRRC;;;SU)(A;;LCRP;;;AU)S:(AU;FA;CCDCLCSWRPWPDTLOCRSDRCWDWO;;;WD)
sc siftype sppsvc UNRESTRICTED
이 외,
사용자 권한 획득 방법(지워지지 않는 파일 변경 방법)
(1)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- 이것만 해도 해결될 수 있음
sc stop "프로세스 이름"
sc config "프로세스 이름" start= disabled ---프로세스 자동시작 막기
sc delete "프로세스 이름" ---프로세스 삭제
(2) cmd-netplwiz에서 사용자 계정에서 'administrator' 속성 눌러서 잠긴 거 해제
--이후 로그인 아이디로 administrator가 새로 생기는데
관리자 아이디이므로 기본적으로 관리자 권한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됨.
(3) 파일에서 속성 클릭하고
사용자 권한 편집하는 곳 있는데 편집 누른 다음에
위에 파일 이름, 소유자 이름 이렇게 적힌 곳에
소유자 '변경' 이라고 되어있는 곳 누르면 변경 가능.
이하 불필요한 윈도우 업데이트
정품인증
- KB3112343 (x)
- KB971033 (x)
- KB3210136 (o) (Microsoft .Net framework 4.6.1)
무단 정보 수집
- KB3022345 (x)
- KB3075249 (x)
- KB3068708 (o)
- KB3080149 (o)
윈도우10 업그레이드
- KB3035583 (x)
- KB2952664 (o)
PC에 문제 야기
- KB2975719 (x)
- KB2975331 (x)
- KB2976897 (x)
- KB2984615 (x)
- KB2982791 (x) (ms14-045)
- KB890830 (x) (악성 소프트웨어 제거 도구)
- KB2970228 (o)
ASUS AI Suite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된다.
단, 그전에 서비스를 열어서 ASUS com service 와 ASUS updatecheck를 활성화시키길 바란ㄷ.
또, Print를 켜려면 Print Spooler 서비스도 켠 다음에 연결해야 한다.....!
sppsvc.msc는 정품인증관련 소프트웨어이다.
그러나 사용자권한을 얻어서 삭제를 하든,
'작업 스케쥴러'에 들어가서 SoftwareProtectionPlatform 예약 서비스를 끄든
Windows 정품인증 하라며 'PC 설정으로 이동' 버튼이 갑툭튀하는 파란색 화면(블루스크린같음)을 피할 수 없다.
따라서 자기 마음대로 KMSpico, Microsoft toolkit, KMSauto net 등 자기가 크랙을 사용해볼 수도 있다.
이때, 중요한 점이 있다.
'인증을 할라 했는데, "Key installation failed"가 뜨면서 진행이 안 된다.'
'관리자권한으로 cmd 들어가서 slmgr류 명령어 (slmgr/ rilc, slmgr/ ipk <제품키>, slmgr/ sai 등)가 안 먹힌다.'
(예외적으로 slmgr /rearm만 됨)
예컨데, KMSauto를 사용했는데,
"~~~ Now will atempt to install GVLK key, ~~~"등의 팝업창이 뜨면서 키 인증이 안 된다면,
(1)구글 검색창에 'KMS 클라이언트 키' 혹은 'windows (??) default key' 아니면 'GVLK key' 등을 검색해서
자신의 윈도우에 맞는 기본 키를 cmd에서 slmgr /ipk <제품키>에 넣어주거나 혹은 PC설정에서 한 번 '키입력'해보면 된다.
(2)만일 제품키 입력조차 안되고, 인식도 못할 경우엔
시스템 복원으로 들어가서 '자기가 인터넷 돌아다니는 제품키를 마구 삽입해보던 그 시절' 이전으로
복원을 해보면 바로 키 입력이 된다.
결론: 자기 현재 제품키를 'GVLK key'='KMS 클라이언트 키'='default key'로 바꿔준 다음에
제품키 크랙파일을 사용하면 바로 정품인증 된다.